학회지 『해양담론』 논문 작성 규정
2023년 2월 25일
개정 2023년 8월 20일
I. 일반
1. 분량: 연구논문은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비평논문과 학술논문은 100매 내외, 그리고 서평과 자료소개는 30매를 기준으로 한다.
2. 저자: 공동저자일 경우, 제1저자와 구분해서 표기하도록 한다.
3. 목차: 논문의 목차는 머리말(혹은 서론, 서언 등)과 맺음말(혹은 결론)을 포함하여 로마자(Ⅰ, Ⅱ, Ⅲ……)로 표기하고, 그 이하의 목차는 1, 2, 3...; 1), 2), 3)...; ①, ②, ③... 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4. 책제목 : 동양서는 『 』(HWP의 겹낫표를 이용), 서양서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5. 논문명 : 동양논문은 「 」, 서양논문은 ‘ ’(HWP의 영문 자판 이용)로 표기한다.
6. 따옴표 : 홑따옴표(‘ ’)는 강조 및 인용문 내에서 인용할 경우에, 겹따옴표(“ ”)는 직접 인용할 경우에 사용한다.
7. 외국어 표기 : 우리말로 표기 후 괄호 안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문장 부호와 외국어 표기가 중첩되는 경우는 다음의 예를 따름>
1) 책제목: 『서양해운사』(A History of European Shipping)
2) 괄호는 따옴표 안에 처리: ‘사실(fact)’
8. 두 번째 이후의 인용
주) Ibid. 또는 idem 또는 op. cit. 등은 가능한 사용하지 않고 출판지명, 출판사, 연도 등을 생략한 간략한 주석을 단다. 이때 동일한 성을 가진 저자가 인용되지 않는다면 first name은 생략한다.
보기 1. 손태현, 『한국해운사』, 부산, 효성출판사, 1992→손태현, 『한국해운사』, 쪽수.
2. Ralph Davi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British Overseas Trade, Leichester, Leichester Univ. Press, 1979, 21 → Davis, Industrial Revolution, 55
9. 쪽수 표기 방법 : 'p' 또는 '쪽'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숫자만 적는다.
'15-19.'(○); '15-9.'(×)/ '150-59.'(○); '150-9.'(×)/ '105-109.'(○); '105-09.'(×)
10. 참고문헌 표기 방법
① 참고문헌은 본문의 각주에서 인용된 사료, 저서, 논문에만 한정한다.
② 사료, 단행본, 논문 순서로 작성하며, 학위논문은 일반논문에 포함시킨다.
③ 한국어 저작(영문 병기)과, 외국어 저작을 구분하여 작성한다.
④ 참고문헌 배열순은, 한국어서와 서양어서 순으로 하되, 각각 가나다 및 알파벳순으로 한다.
11. 저작권: 필자는 학회지에 실린 글의 일부 저작권(복사권·전송권)을 학회에 양도해야 하며, 그에 따른 수입은 학회에 귀속된다.
Ⅱ. 각주
1. 동양어 서적의 경우
1) 단행본, 신문, 잡지명은 『 』(반각) 안에, 논문 및 기사제목은 「 」(반각) 안에 표기한다. 저자 이름과 논문 사이, 논문과 편저자 사이, 편저자와 서명 사이, 출판사와 출판년도, 출판년도와 쪽수 사이를 쉼표로 구분한다.
(1) 단행본: 저자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 권수, (출판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쪽수.
보기 : 장보고, 『청해진』 4, (부산, 해양출판사, 2020), 20.
2) 편저의 논문: 저자이름, 「논문, 또는 기사제목」, 편저자 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 권수(호수), 출판년도, 인용쪽수
보기: 장보고, 「청해진 설치의 의의」 , 손보기 편, 『장보고 연구』 4, 부산, 해양출판사, 2020, 43.
3) 잡지의 논문: 저자이름, 「논문, 또는 기사제목」, 편저자 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 권수(호수), 출판년도, 인용쪽수
보기: 장보고, 「청해진과 법화원」 , 『해양담론』 5(2), 2020, 80.
2. 서양어 서적의 경우
단행본은 서명을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논문은 ‘ ’ 안에 제목을 쓴다. 저자 이름과 논문 사이, 논문과 편저자 사이, 편저자와 서명 사이,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출판년도와 쪽수 사이를 쉼표로 구분한다.
1) 단행본: 저자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이탤릭체),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1) 원서의 경우: Ralph Davi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British Overseas Trade, Leichester, Leichester Univ. Press, 1979, 21.
(2) 역서의 경우: Ralph Davi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British Overseas Trade, Leichester, Leichester Univ. Press, 1979: 김주식 역, 『산업혁명과 영국의 해외무역』, (서울, 청해진출판사, 2020), 30.
2) 논문 : 저자이름, 논문제목, 단행본/ 신문/ 잡지명(이탤릭체), 권수(호수), 출판년도, 쪽수.
1) 편저의 논문: Richard Jarvis, ‘18th century London shipping,’ A.E.J. Hollaender & W. Kellaway, ed., Studies in London History, (London, Hodder & Stoughton, 1969), 417.
2) 잡지의 논문: Simon Ville, ‘The Growth of Specialization in English Shipowning, 1750-1850,’ Economic History Review, XLVI(4), 1993, 702
3. 출판장소와 출판사 이름은 동양서와 서양서 모두 둘 다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확인불가능할 경우에는 확인된 것만 쓸 수 있다. 논문의 경우 출판장소와 출판사 이름은 생략할 수 있다.
4. 쪽수 표기는 인용한 쪽수만 표시하고, page, p, 쪽 등의 표시 없이 인용쪽수만 쓴다. 단, 논문의 경우 참고문헌에 전체 게재 면을 표시한다.
6. 漢籍本 인용의 경우
가장 큰 책의 범주는 『 』로 묶고, 하위는 「 」를 쓰되, 다시 나뉠 경우, 중간점( · )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서지사항 표기는 위의 일반적인 표기법을 따라 판본을 밝혀 준다. 단, 판본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經書나 史料일 경우, 서명과 편명만을 기록할 수 있다.
1) 판본을 밝혀줄 경우
→ 康廣仁, 「報易一盡 」, 『戊戊六君子集』 X期, 上海, 近代史資料集刊, 1992, 32.
→ 魏源, 「外藩・乾隆戡定回疆記」, 『聖武記』 卷4 , 北京, 中華書局, 1984, 34-45.
→ 一然, 『三國遺事』 , 서울, 瑞文文化社, 1996, 132.
2) 일반적인 경서나 사료일 경우
→ 『論語』 卷1, 學而.
→ 『英祖實錄』 卷51, 英祖 16年 6月 3日 壬申.
→ 『高麗史』 卷71, 志25, 樂, 俗樂, 翰林別曲.
7. 번역본의 경우, 번역된 현재의 서지사항을 표기한다. 단, 필자의 필요에 따라 원전의 서지사항을 밝혀 줄 수 있다.
1) 일반적인 표기
→ 蔣伯潛・蔣祖怡 共著, 최석기·강정화 공역, 『유교경전과 경학』 , 서울, 경인문화사, 2002.
→ 鹽野七生, 김석희 역, 『르네상스의 여인』 , 서울, 한길사, 1996, 56~70.
→ 一然, 이재호 역, 『 三國遺事 』, 부산, 솔출판사, 1997, 124.
2) 원전의 서지사항을 밝혀 줄 경우 콜론( : )을 사용한다.
→ E. J. Hobsbawm, Nation and Nationalism since 1780,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강명세 역,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4, 100.
8. 각주 내에서 서명을 인용할 경우, 인용대상을 제외한 부수적인 서지사항은 모두 괄호로 묶어서 처리한다. 불필요한 서지사항은 괄호 안에서 생략할 수 있다.
→ 대표적인 견해로는 田村實造(「均田制の系譜-均田法と計口受田との關係」, 『史林』 45, 1962)와 王仲(「北魏初期社會性質與拓跋宏的均田」, 『文史哲』 10, 1955) 등이다.
9. 각주 내에서 괄호 안에 참고문헌을 달 경우는 해당 문장에 국한되는 경우에만 하고, 각주 전체의 내용일 경우 괄호를 묶지 않는다.
→ 13세기 몽고인들도 라시드 앗 딘의 『集史』 (金浩東 역주, 『부족지』, 서울, 사계절, 2002, 252-53)에서 그 조상에 대해 鮮卑拓跋部가 森林 속에서 살았던 것(『魏書』 卷1, 序紀)과 유사한 回想을 하고 있다. 朱學淵, 「鮮卑民族及其語言線索 」, 『해양담론』 54, 101-102.
10. 여러 논문을 연속해서 인용할 경우, 세미콜론( ; )을 사용해서 표기한다.
→ Ralph Davis, ‘English Foreign Trade 1600-1700,’ Economic History Review, XII, 1954, 112-135; Ralph Davis, ‘English Foreign Trade, 1700-1794,’ Economic History Review, XV, 1962, 78-120.
11. 각주 속에서 인용문을 제시할 경우, 인용문을 겹따옴표(“ ”)로 묶어주고, 전거는 그 뒤에 부기한다.
→ “齊朝一士大夫 嘗謂吾曰 ‘我有一兒 年已十七 頗曉書疏 敎其鮮卑語及琵琶 稍欲通解 以此伏事公卿 無不寵愛 亦要事也’ 吾時俛而不答. 異哉 此人之敎子也! 若由此業 自致卿相 亦不願汝曹爲之.” 「敎子2」 , 『顔氏家訓 』 卷1, 北京, 中華書局, 1993, 21.
12. 신문과 같은 일간지는 연・월・일을 표기하되, 마침표( . )를 이용하여 구분한다.
→ 강만길, 「휴전선에 통일연구소를……」 , 『한겨레신문』 , 한겨레신문사, 2001. 1. 21., 2면.
13. 백과사전
① 저자명이 있는 항목
Encyclopaedia Britannica, 11th ed., s.v. "Blake, William," by J. W. Comyns-Carr.
② 저자명이 없는 항목
Encyclopedia Americana, 1963 ed., s.v. "Sitting Bull."
[또는 's.v.'을 쓰지 않고, …… "Sitting Bull" 항목을 볼 것]
14. 각주에서 자신의 연구자료를 인용할 경우, ‘拙稿’나 ‘筆者’로 표기하지 않고 자신의 이름을 그대로 표기해 준다.
15. 앞에 인용한 문헌을 다시 인용할 때는 저자이름(서양문헌의 경우 성만 씀)과 간략한 제목을 적고 쉼표를 찍은 후 인용쪽수를 적고 마친다. ‘앞의 책’, ‘앞의 논문’, ‘op. cit.’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16. 웹사이트(최종 검색일은 반드시 표기해야 하고, 최종 수정일은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주 1) Academic Technology and User Services, "Frequently Asked Copyright Questions," last modified on March 15, 2022, http//west.wwu.ed u/atus/copyright/copyrightfaq.shtml.(검색 : 2023. 1. 20)
참고) Academic Technology and User Services. "Frequently Asked Copyright Questions." Last modified on March 15, 2022. http://west.wwu. edu/atus/copyright/copyrightfaq.shtml.(검색 : 2023. 1. 20)
<웹주소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는 사선(slash) 앞에서 한 칸을 띄어 쓴다.>
17. 기타
① 위에서 언급한 용어는 적절한 우리말로 번역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② 위에서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일반적인 표기법을 따른다.
III. 인용 방식
1. 모든 인용문(漢文 포함)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한자로 된 인명, 지명, 사건명, 논저명의 경우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필요한 경우 괄호 안에 한자를 붙여 표기한다.
3. 본문 속에서 줄을 바꾸지 않고 잇달아 이어지는 인용문은 겹따옴표(“ ”)로 묶는다. 각주 속의 인용문도 이와 같다.
4. 겹따옴표로 묶인 인용문 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 ’)로 묶는다.
5. 문장을 이루지 않는 단어나 구절의 인용문은 홑따옴표로 묶으며, 인용자에 의해 강조되거나 변형된 인용구는 방점 또는 이탤릭체, 고딕체로 별도 처리한다. 단, 강조의 경우는 한 문장 이내의 범위에서 별도표시를 한다.
6. 문단을 나누어 별도의 문장으로 인용할 때는 겹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한 줄을 띄우고 본문보다 한 포인트 작은 글자로 구분한다. 그리고 앞뒤로 각각 한줄 씩을 띄우고 왼쪽의 여백도 한 칸 들여쓰기로 한다. 출처는 필자의 편의에 따라 각주로 달거나 괄호 안에 넣는다.
7. 모든 종류의 인용문은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까지 제시해야 한다. 재인용의 경우 原典과 인용서를 최대한 상세하게 밝혀야 한다.
8. 인용문 내에서는 마침표를 사용할 수 없다.
→ 伊川선생은 “顔回야말로 진정으로 용기 있는 자이다.”라고 했으니…… (×)
→ 司馬遷은 “子貢만이 三年喪을 더하였다”고 하였다. (○)
Ⅳ. 참고문헌 표기방식
1. 참고문헌은 본문의 각주에서 인용한 사료, 저서, 논문만을 적는다.
2. 사료와 연구논저를 구분하여 적고, 사료와 연구논저는 각각 동양어 문헌을 먼저 적고, 서양어 문헌은 나중에 적는다.
3. 사료는 가나다 혹은 알파벳 순으로 적어야 하며, 그 외의 방식은 필자의 편의에 따라 일관성 있게 처리한다.
4. 연구논저는 단행본을 먼저 적고, 일반논문을 다음에 적는다. 학위논문은 일반논문에 포함시키며, 그 외의 사료는 필자의 판단대로 일관성을 유지하여 적는다.
5. 참고문헌 배열순서는 한국어 논저의 경우 저자 가나다순으로 한다. 일본인과 중국인의 이름은 한자의 한국식 발음 가나다순을 기준으로 한다. 서양서의 경우 저자 성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며, 기타 언어는 각 언어별로 관례를 따르도록 한다.
6. 참고문헌은 각주 표기방식에서 적은 문헌표기방식을 따른다. 단지 단행본의 경우 인용한 쪽수 표시는 할 필요가 없으며, 논문의 경우 전체 쪽수를 표기한다.
1) 동양어 자료의 경우(영문이 병기되어 있는 경우 영문 표기를 병기함)
(1) 단행본: 저자이름, 『책/ 신문/ 잡지명』 권수, 출판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 손태현, 『한국해운사』, 아성출판사, 1982.
→ 김성준, 『한국항해선박사』, 혜안, 2022; Kim, Sungjune, A History of Korean Ships and Navigation, Hyean, 2022.
→ 席龍飛, 『中國造船史』, 武汉大學出版部, 2010; Xi, Longfei, A History of Chinese Shipbuilding, Wuhan Univ. Press, 2010.
(2) 논 문: 저자이름, 「논문/ 기사 제목 」 , 편저자 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 』 권수(호수), 출판 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게재쪽수(논문의 경우, 출판장소, 출판사, 게재쪽수는 생략할 수 있음)
① 편저의 논문
→ 장보고, 「청해진 설치의 의의」 , 손보기 편, 『장보고 연구』 4, 부산, 해양출판사, 2020, 20-40.
→ 汪敏 外, 「蓬萊三号船型推定」, 席龍飛 外編, 『蓬萊古船』, 北京: 文物出版社, 2009, 110-120; Wang, Min et al., ‘Estimation of Penglai No. 3 Ship’s Model’, Xi, Longfei et al. ed., Penglai Ancient Ships, Beijing : Wenwu Publisher, 2009, 110-120.
② 잡지의 논문
→ 村上勝彦·富田晶子·橋谷 弘·並木真人, 「植民地期朝鮮社會經濟の統計的硏究」, 『東京經大學會誌』, 136輯, 1984, 57-64.
→ 하영석, 「한국해운산업의 위기극복사례 비교연구」, 『해운물류연구』, 28권 2호, 2012.6, 143-167; Ha, Yeong-sok,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olution of Crisis-Relief for the Shipping Industry in Korea, The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28(2), 2012.6, 143-167.
2) 서양어 자료의 경우
(1) 단행본: 저자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이탤릭체) 권수, 출판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 원서의 경우: Davis, Ralp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British Overseas Trade, Leichester, Leichester Univ. Press, 1979.
- 역서의 경우: Davis, Ralp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British Overseas Trade, Leichester, Leichester Univ. Press, 1979: 김주식 역, 『산업혁명과 영국의 해외무역』, 서울, 청해진출판사, 2020.
(2) 논 문 : 저자이름, ‘논문, 기사제목,’ 편저자 이름, 단행본/ 신문/ 잡지명 권수(호수), 출판장소, 출판사, 출판년도, 게재쪽수.
- 편저의 논문: Jarvis, Richard, ‘18th century London shipping,’ Hollaender, A.E.J. & Kellaway, W., ed., Studies in London History, London, Hodder & Stoughton, 1969, 410-425.
- 잡지의 논문: Ville, Simon, ‘The Growth of Specialization in English Shipowning, 1750-1850,’ Economic History Review XLVI(4), 1993, 700-720.
7. 참고문헌 목차
1. 사료
1) 동양어 문헌
2) 서양어 문헌
2. 연구논저
1) 동양어 문헌
① 단행본
② 논문
③ 기타
2) 서양어 문헌
① 단행본
② 논문
③ 기타